시민사회

'피란수도 부산' 유네스코 등재 물거품? 심의 보류 '충격'

 부산시가 야심 차게 추진 중인 '피란수도 부산'의 유네스코 세계유산 등재 계획에 제동이 걸렸다. 지난해 문화유산청 심의에서 보류 판정을 받아 당초 목표했던 2028년보다 2년 늦어진 2030년 등재를 목표로 수정해야 하는 상황에 처했다.

 

21일 문화재청에 따르면 지난해 9월 열린 유네스코 세계유산 우선등재목록 심의에서 부산시가 신청한 '한국전쟁기 피란수도 부산의 유산'이 보류 판정을 받았다. 세계유산 등재 전 반드시 거쳐야 하는 국가 차원의 심의에서 탈락하면서 순탄할 것으로 예상됐던 부산시의 계획에 차질이 불가피해졌다.

 

심의위원회는 부산시가 신청한 유산 대부분이 도심에 위치해 개발 압력에 취약하다는 점을 지적했다. 이에 따라 구체적이고 실질적인 보호 관리 계획을 요구했다. 특히 우암동 소막 주거지의 경우 단순히 '터'로서의 가치뿐 아니라 지속가능성을 확보하기 위한 보조적인 관리 방안 마련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또한, 시민들의 자발적이고 적극적인 참여를 이끌어낼 방안 마련도 주문했다.

 


부산시는 2015년부터 '피란수도 부산'의 세계유산 등재를 위한 사업을 추진해왔다. 2022년 12월에는 임시수도 정부청사였던  임시중앙청, 대통령 관저였던 경무대, 아미동 비석 피란 주거지 등 9곳이 유네스코 세계유산 잠정목록에 등재되며 기대감을 높였다.

 

하지만 이번 심의 보류로 부산시는 2030년 등재를 목표로 계획을 수정하고, 문화재청의 요구에 맞춰 신청서를 보완해야 하는 과제를 안게 되었다. 이를 위해 부산시는 오는 10월까지 '피란수도 부산 보존관리체계 및 신청서 보완 위한 심화연구'를 진행할 예정이다.

 

부산시 관계자는 "문화재청의 심의 결과를 겸허히 수용하고 지적된 사항들을 보완하여 '피란수도 부산'의 세계적 가치를 인정받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비싼데 맛없다?' 빽햄 먹어본 소비자들의 충격적인 평가

 캔햄 시장에 새로운 바람을 일으키려 했던 백종원의 '빽햄'이 가격 논란에 휩싸였다. 설 명절을 앞두고 백종원 대표가 유튜브를 통해 선보인 빽햄 선물세트의 할인 마케팅이 도마 위에 올랐다. 5만 1900원짜리를 45% 할인해 2만 8500원에 판다는 홍보가 오히려 역효과를 낳은 것이다.시장의 대표주자인 스팸과 비교했을 때 빽햄의 정가가 지나치게 높게 책정됐다는 지적이 이어졌다. 200g 기준 스팸이 2000원대에 판매되는 반면, 빽햄은 4000원대를 형성하고 있다. 더욱 문제가 된 것은 높은 가격에도 불구하고 돼지고기 함량은 오히려 더 낮다는 점이다. 스팸이 수입산 92%인데 비해 빽햄은 국산 85%에 그친다.이에 대해 백종원 대표는 생산량 차이로 인한 원가 상승과 국산 한돈 사용, 부대찌개 양념류 첨가 등을 차별화 포인트로 내세웠다. 과연 이 설명이 소비자들을 설득할 수 있을지 직접 비교 시식을 통해 확인해보았다.외관상으로는 두 제품의 차이를 구분하기가 쉽지 않았다. 7%의 돼지고기 함량 차이는 육안으로 확인이 불가능했다. 다만 영양성분에서는 확연한 차이를 보였다. 100g 기준으로 빽햄은 칼로리(295㎉)와 지방(27g)이 스팸(340㎉, 31g)보다 낮았지만, 나트륨 함량은 오히려 더 높았다(빽햄 1210㎎, 스팸 1080㎎).구워서 먹어보니 가장 큰 차이점은 식감과 짠맛이었다. 빽햄은 강렬한 짭조름한 맛과 특유의 육향이 특징이지만, 식감이 다소 단단하고 부서지는 느낌이었다. 반면 스팸은 적절한 짠맛에 입안에서 부드럽게 녹는 식감이 돋보였다.김치찌개 테스트에서도 비슷한 결과가 나왔다. 빽햄은 강한 짠맛으로 국물 맛을 잘 살렸지만, 여전히 부서지는 식감이 아쉬웠다. 스팸은 높은 지방 함량 덕분인지 더 깊은 맛을 내면서도 탱글탱글한 식감을 끝까지 유지했다.종합적으로 볼 때, 빽햄은 스팸을 뛰어넘을 만한 차별화 포인트를 보여주지 못했다. 국산 한돈 사용이라는 장점도 가공식품이라는 특성상 큰 메리트로 다가오지 않았다. 결국 높은 가격에도 불구하고 스팸을 대체할 만한 확실한 이유를 찾기 어려웠다는 것이 이번 비교 시식의 결론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