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뱃돈? 올해는 패스'… 고물가가 바꾼 2025 설날 풍경
SK커뮤니케이션즈가 실시한 '네이트 Q' 설문조사 결과에 따르면, 올해 세뱃돈을 주고받지 않겠다는 응답이 36%로, 2023년 29%에서 큰 폭으로 증가했다. 특히 주목할 만한 점은 성별에 따른 인식 차이다. 여성 응답자의 41%가 세뱃돈 교환을 하지 않겠다고 답한 반면, 남성은 29%에 그쳐 뚜렷한 차이를 보였다. 이는 단순한 경제적 문제를 넘어 명절 문화에 대한 성별 간 인식 차이를 반영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세뱃돈 금액에 대한 의견도 크게 엇갈렸다. 응답자의 16%는 3만 원이면 충분하다고 답해 실용적인 접근을 보였으나, 7%는 10만 원 이상이 적절하다고 응답했다. 이는 물가 상승과 경제적 양극화가 반영된 결과로 분석된다.
온라인상에서는 명절 문화를 둘러싼 다양한 의견이 제기되고 있다. 전통은 지키되 현실에 맞게 조정해야 한다는 온건한 입장부터, 명절 자체의 간소화나 폐지를 주장하는 급진적 목소리까지 다양한 스펙트럼이 존재한다.
SK컴즈 안지선 미디어서비스 팀장은 이러한 현상에 대해 "세뱃돈은 단순한 금전적 교환을 넘어 세대 간 기대와 경제적 현실이 충돌하는 상징적 요소"라고 분석했다. 또한 "명절의 본질인 가족 간의 정을 나누는 방식을 각자의 형편에 맞게 재해석할 필요가 있다"고 제안했다.